KTX20주년 기념 KTXㅡ청룡 개통일 정리 KTX20주년 기념 KTXㅡ청룡 개통일 정리 KTX20주년 기념 KTXㅡ청룡 개통일 정리
 
신청 방법
 
다운로드
 
자격 조건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반응형

 

 

 

 

 

 

KTX 20주년 기념 KTX 청룡열차 개통

 

KTX ㅡ청룡열차

KTXㅡ청룡은 8년 가까운 연구개발 끝에 100% 국내 기술로 서계, 제작된 고속열차로, 오는 5월부터 첫 운행을 시작한다고 한다. 이번 KTXㅡ 청룡열차의 탄생으로 KTX청룡열차는 기존 KTX를 넘어서는 가장 빠른 고속열차가 되었다.

 

최고 시속 320km로 2010년 도입된 KTXㅡ산천(최고시속 300km)보다 20km가량 빠르기 때문에 서울  ~ 부산을 2시간 10분대, 용산 ~ 광주송정을 1시간 30분대에 각각 주파할 수 있다.

 

특히 가속 성능이 우수해 역과 역 사이 간격이 좁은 우리나라의 지형적 특성에 적합하게 설계되었다고 한다.

KTXㅡ 청룡은 "동력분산식" 열차라 내부 객실이 다른 열차보다 비교적 넓다고 한다. KTXㅡ 산천과 비교해 좌석 간 앞뒤 공간은 20mm,좌석 통로 폭은 154mm 넓어 기존 KTX에서의 불편함을 줄여 좀 더 편안하고 안락한 여행이 되도록 했다.

 

국토부는 5월부터 최고속도 320km/h의 신형 고속열차(EMUㅡ320) KTXㅡ 청룡 2편성을 선제적으로 도입하고, 2027년 말부터 2028년까지 31 편성을 추가 도입할 계획이라고 한다.

달라진 점

KTXㅡ 청룡은 국토부가 차세대 고속철도 연구개발 (2007 ~ 2015)을 통해 100%로 국내기술로 설계 제작한 동력분산식 고속열차(EMUㅡ 320)이다. 기존 KTX에 적용된 동력집중식보다 우수한 기술이라 평가받고 있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대부분이 동력분 산식인 세계 고속철도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다.

> 동력 집중식 : 동력장치가 있는 기관차와 동력장치가 없는 객차로 구성.

> 동력 분산식 : 동력장치가 전체 객차에 분산.

KTXㅡ 청룡은 좌석마다 개별 창문과 220V 콘센트, 무선충전기, USB 포트를 설치해 승객의 편의성을 개선하였으며 , 

좌석 수도 KTXㅡ 산천 대비 136석(35.8%) 많기 때문에 훨씬 많은 승객 수용이 가능하다.

 

운행적인 측면에서는 가속 성능이 우수하여 리나라의 지형과 특성에 최적화 되어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 300km/h 도달시간 : KTXㅡ 산천은 5분 16초, KTXㅡ 청룡은 3분 32초(1분 44초 단축)

 

운행

올해 5월부터는 서울 ~ 부산 2시간 10분대, 용산 광주송정 1시간 30분대로 이동할 수 있는 "급행 고속열차"를 확대 운행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에 공개된 KTXㅡ 청룡은 모두 "급행 고속열차"로 신규 투입 예정이다.

 

급행 고속열차는 정차역을 최소화하여 서울 ~ 부산, 용산 ~ 광주송정 간 운행시간을 단축한 열차다. 현재 일 편도 2회에서 6회로 확대 운행할 예정으로, 경부선은  일 4회, 호남선은 일 2회를 운행한다.

4월 2일 09시부터 코레일 앱(코레일톡) 또는 홈페이지에서 예매할 수 있다.

 

이번 급행 고속열차 운행과 함께 수원을 경유하는 경부선 KTX도 일 4회 증편되어, 3,820석의 좌석이 증가한다.

급행 고속열차 및 KTXㅡ 청룡의 운임/요금은 현행 운임체계에 따라, 기존 KTX와 동일하게 설정되었다.

주중에는 경부선, 호남선 각각 공급좌석이 1,030석 증가될 예정이다. 주말에는 선로용량 등을 감안, 경부선에 공급좌석이 300석 증가될 예정이다.

* 경부선: 서울 > 대전 > 동대구 > 부산. 서울(08:57) > 부산(11:15)

* 호남선: 용산 > 익산 > 광주송정.    용산(16:08 > 광주송정(17:44)

                    

KTXㅡ청룡의 개통으로 인해 전국이 반나절 생활권이 되었습니다.

이 좋은 날 열차 여행 한번 떠나보세요.

 

 

 

 

 

반응형

KTX20주년 기념 KTXㅡ청룡 개통일 정리
loading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