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오늘은,
모기에 물렸을 때 남들보다 몇 배 더 가렵고 심하게 피부가 부풀어 오르고 화끈거려 고생하는
모기알레르기인 '스키터증후군'에 대하여 알아볼께요
스키터 증후군
스키터 증후군
모기에 물렸을 때 나타날 수 있는 알레르기 반응을 말하는데요, 대부분 모기에 물렸을 때 가렵거나 물린 부위가 부어오르는데 모기알레르기가 있는 사람들은 가려움증이 훨씬 오래가고 비교적 넓은 부위의 피부가 부어오릅니다
모기의 침은 우리의 몸에서 면역 반응으로 인하여 가려움과 붓기를 유발합니다
대부분 하루 이틀이면 가려움 등 증상이 가라앉는데요 모기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증상이 조금 오래가며 심한 반응을 보이기도 합니다
모기는 사람의 피를 빨아들이면서 타액을 주입하게 되는데요, 이 타액은 면역 반응을 유발하는 단백질과 다른 화학물질이 들어있습니다. 이러한 타액 성분이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주요 원인으로, 민감한 사람들은 일반적인 사람보다 더 심한 반응을 보이게 됩니다
스키터 증후군은 가려운 부위도 넓고 가려움도 심하다 보니 나도 모르게 긁다 보면 심한 경우 물집이 생기고 상처와 염증으로 인한 세균의 2차 감염의 우려도 생길 수 있습니다
모기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매년 여름 모기 안 물리는 법과 대처법에 대하여 잘 알고 있어야 합니다
성인보다는 면역력이 약한 초등학생 이하의 어린아이, 아기에게서 많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 모기 안 물리는 방법
1. 밝은 옷 입기
- 모기는 밝은 색 보다 어두운 색을 좋아합니다
2. 모기향 등 모기 기피제 사용
3, 샤워 등 청결
- 모기는 후각이 잘 발달되어 있어서 땀 등 사람에게서 나는 채취를 좋아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땀 분비가 많은 여름철엔 자주샤워를 하는 등 몸을 청결히 해야 합니다
▶ 모기에 물렸을 때 대처법
스키터 증후군이 있으면 적극적인 대처자세가 필요합니다
가까운 약국에서 쉽게 구매가 가능한 스테로이드 성분의 연고가 염증 반응을 억제하는데 큰 도움을 줍니다
어린이의 경우 물파스 같은 액체보다 바르는 크림이나 연고제형을 선택합니다
성인 스키터 증후군
성인 스키터 증후군은 일반적인 모기 물림과는 조금 다른 증상을 보입니다
심각한 염증과 붓기를 동반하며 고통스럽고 불편함을 호소합니다
▶ 스키터 증후군의 원인
성인 스키터 증후군은 모기의 침에 들어있는 타액 단백질에 대한 면역체계의 과민 반응으로 인하여 발생합니다
특히 면역 체계가 예민한 사람들에게서 스키터 증후군이 발생할 가능성이 일반인에 비해 높습니다
▶ 스키터증후군 증상
1. 심하게 부어오름
2. 수포 및 물집이 생긴다
3. 심한 가려움증
4. 통증
5. 발열, 두통, 피로 등이 나타남
6. 물린 부위가 붉게 변하고 열이 발생
▶ 성인 스키터증후군 진단
성인 스키터증후군은 주로 임상과 병력에 기반하여 진단합니다
모기가 물리고 난 후에 나타나는 심각한 국소 반응과 과거의 유사한 반응을 고려하여 진단하게 됩니다
피부 검사나 혈액 검사를 통하여 특정 알레르기에 대한 민감성을 확인합니다
▶ 스키터증후군 치료법
치료를 위해서는 물린 자리에 가려움 등의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우선 냉찜질을 해줍니다
성인 스키터증후군의 치료법은 증상의 완화에 무게를 둡니다. 병원에서는 이러한 증상을 관리하는 데 집중합니다
- 항히스타민제: 가려움증, 붓기완화
- 국소 스테로이드제: 염증을 줄여줌
- 진통제: 통증완화
- 냉찜질: 붓기와 통증 줄여줌
▶연고
- 물린디, 써버쿨, 버물리 등의 항히스타민 연고나 액을 뿌려 물린 곳의 붓기 간지러움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 물린디 키드, 써버쿨, 버물리 등은 생후 1개월 부타 사용 가능 하여 아기나, 어린이에게도 사용 가능한 안전한 연고입니다
성인의 경우 버물리, 물린디 등을 발라주면 히스타민으로 인한 증상완화에 큰 도움이 됩니다
상처 등 염증이 발생한 경우에는 리도멕스연고, 락티케어 등 스테로이드 성분의 연고를 발라주는 것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
※ 주의사항
우리의 침 속에는 포도상구균 등의 박테리아가 다수 포함되어 있어 상처가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절대로 침을 바르는 것을 하지 말아야 합니다
▶ 성인 스키터증후군 예방법
- 모기기피제, 허브, 오일 등을 사용합니다
- 긴 의류를 착용하여 피부의 노출을 최소화합니다
- 항상 청결을 유지합니다
- 가능하면 모기의 활동 시간을 피합니다
- 최대한 음주를 피하고 외출 후에는 즉시 몸을 씻습니다
- 집 내부에 모기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방충망을 사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