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 베트남에서 전세·월세로 살아보기
– 꿀팁부터 임대비용까지 총정리 –
베트남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생활비와 따뜻한 기후, 활기찬 도시 분위기로 많은 한국인들에게 장기 체류지 또는 디지털 노마드의 거점으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특히 호치민, 하노이, 다낭 등 주요 도시에서는 한국인 커뮤니티도 잘 형성되어 있어 생활이 그리 낯설지 않죠. 하지만 집을 구하고 실제로 거주하는 과정에서는 몇 가지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베트남에서 전세·월세로 살기 위한 핵심 정보를 총정리해드릴게요!
1. 전세 vs 월세, 베트남에도 있을까?
한국에서는 ‘전세’라는 개념이 익숙하지만, 베트남은 대부분 월세 중심의 임대 시스템입니다. 전세 개념은 없다고 봐도 무방해요. 다만 장기 계약 시 일정 금액을 선불로 납부하고 할인받는 방식은 존재합니다.
- ✅ 월세 (Renting): 가장 일반적인 방식. 보통 6개월~1년 단위로 계약하며, 매달 월세를 납부합니다.
- ✅ 선불 계약: 6개월 혹은 1년치를 한꺼번에 선납하면 월세를 할인해주는 조건. 한국인의 ‘전세’ 감각과 비슷하지만 엄밀히 다릅니다.
- ❌ 보증금 + 전세 개념: 한국식 전세(목돈 맡기고 월세 없이 거주)는 존재하지 않음.
2. 지역별 임대 시세 비교
🏙️ 호치민 (HCMC)
- 1군, 2군, 7군이 외국인 거주에 인기 많음
- 고급 레지던스 기준
- 원룸/스튜디오: 400~700 USD
- 1~2베드 아파트: 600~1,200 USD
- 풀 옵션 빌라: 1,500 USD 이상
- 로컬 아파트나 빌라: 300~600 USD 선도 존재
🏯 하노이
- 떠이호(서호), 꺼우저이 등 외국인 밀집지역
- 고급 아파트 기준
- 스튜디오: 300~600 USD
- 2베드 이상: 500~1,000 USD
- 로컬 옵션: 200~500 USD
🏖️ 다낭
- 해변가 중심으로 임대 수요 있음
- 스튜디오/원룸: 250~500 USD
- 아파트형: 400~800 USD
- 풀빌라: 1,000 USD 이상
💡 TIP: 단기 렌탈은 에어비앤비, 장기 거주는 중개업소나 현지 커뮤니티를 통해 계약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3. 임대 시 고려할 사항
✅ 계약 조건
- 계약서는 영문 계약서 혹은 베트남어 + 영어 병기 형식이 일반적
- 계약 기간: 보통 6개월 ~ 1년
- 보증금: 보통 1~2개월치 월세
- 계약 해지 조건 꼭 명확히 확인할 것 (조기 퇴거 시 위약금 등)
✅ 월세 외 추가 비용
- 관리비 (서비스 아파트의 경우 포함일 수 있음)
- 전기세, 수도세, 인터넷, 케이블TV 등 공과금
- 청소 서비스 (풀옵션일 경우 포함되기도 함)
- 주차료 (오토바이/차량 여부에 따라 별도 부과)
✅ 옵션 여부
- 가구 포함 여부 확인 (Furnished or Unfurnished)
- 에어컨, 세탁기, 냉장고, 조리기구 포함 여부
- 엘리베이터, 수영장, 헬스장 등 부대시설 확인
4. 집 구하는 방법
1) 부동산 중개업소 활용
- 한국어 가능한 중개인도 많음 (특히 호치민, 하노이)
- 수수료는 일반적으로 임차인에게 별도로 받지 않음
- 계약서 작성 및 집주인과의 커뮤니케이션을 도와줘서 편리함
2) 온라인 플랫폼
- Batdongsan – 베트남 대표 부동산 플랫폼
- Facebook 그룹 – Expat Housing in [도시명] 등
- 에어비앤비 – 단기 숙소 → 장기 협상 전환 가능
3) 한국인 커뮤니티
- 호치민한인회, 하노이한인회 등
- 카카오톡 오픈채팅방, 페이스북 그룹 등을 통해 정보 공유 활발
5. 주의할 점 ⚠️
🔒 계약 전에 꼭 확인할 것들
- 집 소유주가 실제로 계약권한을 가진 사람인지 (서류 확인 필수)
- 계약서에 명시된 임대기간, 보증금 반환 조건
- 집에 하자 여부 (물 새는지, 곰팡이 있는지 등 꼼꼼히 체크)
- 공과금이 명확히 명시되어 있는지
💬 언어 문제
- 대부분의 집주인은 영어를 잘 하지 않음
- 중개업자나 통역 가능자 활용 권장
🧹 청소 및 관리
- 일부 아파트는 하우스키핑 포함
- 일반 주택이나 로컬 아파트는 본인이 직접 관리해야 함
💸 보증금 반환 문제
- 퇴실 시 보증금을 깎거나 반환을 지연하는 사례가 간혹 있음
- 계약서에 반환 조건 명확히 하고, 퇴실 전 상태 사진 촬영 추천
6. 꿀팁 모음 ✨
항목꿀팁
계약 기간 | 1년 계약 시 월세 할인 협상 가능 |
협상 | 처음 제시된 가격에서 10~20% 할인 가능성 있음 |
옵션 확인 | ‘풀옵션’이라 해도 전자레인지, 조리도구 등 확인 필요 |
와이파이 | 일부는 속도 느림 – 계약 전 확인 권장 |
시세 파악 | 동일 단지 내 아파트 비교해보고 결정할 것 |
안전 | 보안요원, CCTV, 게이트 여부 확인 (특히 여성 1인 거주 시) |
7. 베트남에서 집 구할 때 추천 루트 (체크리스트)
- 희망 지역/예산 설정
- 중개업체 혹은 온라인 플랫폼 통해 매물 수집
- 방문 전 체크리스트 작성
- 가구 포함 여부
- 전기·수도·와이파이 상태
- 소음, 곰팡이 등 문제 여부
- 계약 전 반드시 집주인 신원과 서류 확인
- 계약서 검토 (영문계약 필수!)
- 보증금 지불 시 계좌이체 권장 (기록 남김)
- 입주 후 문제 발생 시 중개인 통해 소통
마무리 🎯
베트남에서 전세나 월세로 살아가는 것은 생각보다 쉬우면서도, 몇 가지 함정을 조심해야 할 부분이 있어요. 특히 계약서 꼼꼼히 확인하기, 보증금 관련 이슈 주의하기, 중개업소 신뢰도 판단하기가 중요하죠.
처음엔 약간 낯설 수 있지만, 조금만 익숙해지면 합리적인 가격에 멋진 집에서 편안하게 거주할 수 있습니다. **"현지화된 생활력" + "사전 정보"**가 있다면, 베트남에서의 주거 생활은 꽤나 만족스러울 거예요 😊
반응형